✅ RDBMS데이터를 테이블 단위로 관리 : 하나의 테이블은 여러 개의 컬럼으로 구성중복 데이터를 최소화 시킴정규화 : 같은 데이터가 여러 컬럼 또는 테이블에 존재했을 경우, 데이터를 수정 시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짐여러 테이블에 분산되어 있는 데이터를 검색 시 테이블 간의 관계(join)을 이용하여 필요한 데이터를 검색 ✅ SQL📌 DDL (데이터 정의어)테이블 생성, 컬럼 추가, 타입변경, 제약조건 지정, 수정 등create, alter, drop, rename, truncate(테이블 초기화)📌 DML (데이터 조작어)CRUD insert, select, update, delete📌 DCL (데이터 제어어)DB, Table의 접근 권한이나 CRUD 권한을 정의특정 사용자에게 테이블의 검색..
✅ 자바 프로그램의 개발과 구동JDK : Java Development Kit / 자바 개발 도구JRE : Java Runtime Environment / 자바 실행 환경JVM : Java Virtual Machine / 자바 가상 기계 📌 객체 지향 프로그램의 메모리 사용 방식코드 실행 영역데이터 저장 영역스태틱(Static) 영역스택(Stack) 영역힙(Heap) 영역public class Start { public static void main(String[] args) { System.out.println("Hello"); }}JRE는 프로그램 안에 main() 메서드가 있는지 확인 main() 메서드의 존재가 확인되면 JVM을 부팅시키고 java.lang 패키지를 스태틱 영역에 가..
✅ 람다식이란?함수형 프로그래밍이란 함수를 정의하고 이 함수를 데이터 처리부로 보내 데이터를 처리하는 기법을 말한다.자바는 함수형 프로그래밍을 위해 Java 8부터 람다식을 지원한다.자바는 람다식을 익명 구현 객체로 변환한다.// Calculable 인터페이스public interface Calculable { void calculate(int x, int y);}// Calculable 인터페이스의 익명 구현 객체new Calculable() { @Override public void calculate(int x, int y) {처리 내용};}// 람다식(x, y) -> {처리 내용};인터페이스의 익명 구현 객체를 람다식으로 표현하려면 인터페이스가 단 하나의 추상 메서드만 가져야 한다.// 인터페..
List입력 순서가 있는 데이터의 집합순서가 있으니까 데이터의 중복을 허락ArrayList, LinkedListSet입력 순서를 유지하지 않는 데이터의 집합.순서가 없어서 같은 데이터를 구별할 수 없음 -> 중복 허락하지 않음HashSet, TreeSetMapkey와 value의 쌍으로 데이터를 관리하는 집합순서가 없고 key의 중복 불가value는 중복 가능HashMap, TreeMap